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

볼린저 밴드란, 설정법, 실전 활용법 1. 볼린저 밴드란 무엇인가?볼린저 밴드는 1980년대 기술적 분석가 존 볼린저(John Bollinger)가 개발한 보조지표이다.가격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바탕으로 상단선, 하단선, 중간선(이동평균선)으로 구성되어 있다.이 세 개의 선이 만들어내는 띠처럼 생긴 형태 때문에 ‘밴드(band)’라는 이름이 붙었다.볼린저 밴드의 핵심은 주가의 변동성이다. 시장의 움직임이 클수록 밴드 폭이 넓어지고, 움직임이 작아지면 밴드 폭이 좁아진다.이 지표는 주가가 어느 정도의 범위 안에서 움직일 가능성이 높은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준다.일반적으로 주가는 밴드의 중간선을 기준으로 등락을 반복한다. 상단선에 닿으면 과열(과매수), 하단선에 닿으면 침체(과매도) 상태로 해석되기도 한다. 다만 단순히 상단에 닿았다고 무조건 매도하.. 2025. 6. 19.
RSI란, 기본적인 설정법, 실전 활용법 1. RSI란 무엇인가?RSI는 Relative Strength Index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상대강도지수'라고 부른다.이는 일정 기간 동안의 상승폭과 하락폭을 비교하여 현재 주가의 과매수·과매도 상태를 판단하는 데 사용하는 대표적인 오실레이터형 보조지표다. 즉, 너무 많이 올랐는지 혹은 너무 많이 떨어졌는지를 수치화해서 보여주는 지표라고 이해하면 된다.RSI는 0에서 100 사이의 값으로 표시된다. 일반적으로 70 이상이면 과매수 구간, 30 이하면 과매도 구간으로 본다.이 구간을 기준으로 매수 또는 매도를 고민하는 판단자료가 되기도 한다.예를 들어 RSI가 80이라면 최근 며칠 간 주가가 거의 계속 올랐다는 의미다. 반대로 RSI가 20이라면 계속 하락했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절대적인 기준은 .. 2025. 6. 18.
MACD란, 설정법, 실전 적용 법 1. MACD란 무엇인가?MACD는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의 줄임말이다.우리말로 해석하면 ‘이동평균 수렴·확산 지표’라는 뜻이다. 주가의 추세를 파악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보조지표 중 하나다.기본적으로는 두 개의 이동평균선 간의 차이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다.MACD는 단기 이동평균선(보통 12일 EMA)과 장기 이동평균선(보통 26일 EMA)의 차이를 나타낸다.이 차이를 나타낸 선을 'MACD선'이라고 부르며, 이 MACD선을 다시 9일 동안 평균 내 만든 선이 'Signal선'이다.그래프 아래쪽에 막대처럼 생긴 것은 ‘히스토그램’이라 하며, MACD선과 Signal선의 차이를 시각적으로 보여준다.MACD는 추세가 강해지는지, 약해지는지를 감.. 2025. 6. 17.
스토케스틱 설정법, 사용법, 실전 적용 스토캐스틱 오늘은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보조지표중의 하나인 스토케스틱에 대해서 알아보자Stochastic은 ‘가격이 오르내리는 속도(모멘텀)’를 가장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다.기본설정부터 간단한 실전적용까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자.1. 기본 설정법: %K, %D, Slow스토캐스틱은 두 개의 선으로 구성된다.%K : 원본 값, 속도계 바늘 같은 선이다.%D : %K를 다시 평균 낸 신호선이다.HTS 대부분은 Slow Stochastic(느린 스토캐스틱)을 기본 제공한다. 가장 대중적인 14, 3, 3 설정은 아래와 같다.항목의미기본값기간고·저 범위를 계산할 일수14%K 스무딩%K를 몇 번 이동평균할지3%D 기간%K를 몇 일 평균해 신호선으로 쓸지314일 최고가·최저가 범위에서 오늘 종가가 어느 .. 2025. 6. 14.
거래량은 주가의 에너지, 기본 공식, 실전 활용 1. 거래량은 주가의 에너지를 읽는 열쇠다거래량(volume)은 주식 차트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지표다.많은 투자자들이 가격에만 집중하지만, 가격보다 먼저 움직이는 경우가 있는 것이 바로 거래량이다.거래량은 해당 종목이 얼마나 활발히 거래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며,주가의 방향성이나 추세의 강도를 판단하는 핵심적인 단서가 된다.일봉 차트에서 거래량은 하루 동안 체결된 주식 수를 의미한다.이 수치는 기관이나 외인의 움직임을 유추하는 데 유용하다.반면, 분봉 차트에서는 1분, 3분, 5분 등 분단위로 거래량이 집계되며, 단타매매나 단기 매매를 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참고해야하는 지표이기도 하다.예를 들어, 일봉상 횡보하던 종목에서 평균 대비 2~3배 이상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양봉이 나온다면, 수급의 변화.. 2025. 6. 7.
복합캔들 신호, 이평선 방향 확인, 실전 매매 활용 1. 복합 캔들로 신호를 잡는다당연한 얘기지만 차트를 보다 보면 단순히 봉 하나만으로는 방향을 잡기가 어렵다.그래서 등장한 것이 바로 복합 캔들 패턴이다. 승률이 높은 대표적인 복합캔들은 상승장악형, 샛별형, 저녁별형 같은 것들이 있다.이런 패턴은 두 개 이상의 캔들이 모여서 추세의 반전을 암시하는 형태를 만든다.기존 추세가 힘을 잃고 이제는 반대 시장의 힘이 더 크게 작용하면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캔들 모양이라고 이해를 하면 쉽다. 예를 들어 상승장악형은 첫 날에 작은 음봉이 나오고, 다음 날에 그걸 완전히 감싸는 큰 양봉이 나오는 패턴이다.이는 매도세가 약해지고, 매수세가 힘을 얻는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이때 많은 트레이더들은 '반등의 신호다'라고 받아들인다. 물론 무조건적인 상승하는 건 아니지.. 2025. 6.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