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

투자심리도란, HTS 설정법, 실전 활용법 1. 투자심리도란 무엇인가?투자심리도는 말 그대로 시장 참여자들의 '심리 상태'를 수치로 나타낸 보조지표다.영어로는 Psychological Line (PSY)라고 하며, 일정 기간 동안 상승한 날의 비율을 통해 현재 시장이 낙관적인지, 비관적인지를 가늠한다.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한다.PSY(%) = (n일 중 상승일 수 / n일) × 100예를 들어 12일 중 9일이 상승했다면, PSY는 (9/12) × 100 = 75%가 되는 식이다.보통 기준선은 50%다. - 50%를 기준으로 위에 있으면 매수 심리가 우세한 상황이고, - 아래에 있으면 매도 심리가 강하다고 판단한다. 또한 과열과 침체의 구간은 다음처럼 판단한다.75% 이상: 과열 상태 → 주가 조정 가능성 높음25% 이하: 과매도.. 2025. 7. 2.
이격도란, 이격도 설정법, 활용 꿀팁 1. 이격도란 무엇인가?이격도란 주가가 이동평균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비율로 나타낸 지표다.영어로는 Disparity Ratio라고 하며, 간단히 말해 현재 주가가 평균 가격보다 위에 있는지, 아래에 있는지를 숫자로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다.보통 단순이동평균선(SMA)을 기준으로 설정하며, 대표적으로 5일, 20일, 60일 이격도가 자주 사용된다.이격도는 기본적으로 %로 표기된다. 예를 들어, 20일 이평선이 1,000원인데 현재 주가가 1,100원이라면, 이격도는 +10%가 되는 식이다.이격도가 100%이면 주가와 기준 이평선의 주가가 같다는 뜻이다.100 이상이면 주가가 평균선보다 위에 있다는 뜻이고100 이하이면 주가가 평균보다 아래에 있다는 의미다.이 단순한 숫자만으로도, 시장.. 2025. 6. 24.
해외선물 종류, 주요 종목, 종목별 특성 1. 해외선물의 종류해외선물이란 미국 CME(시카고 상품거래소), ICE, NYMEX 등 글로벌 거래소에서 상장된 선물상품을 말한다.국내 주식시장과 달리, 해외선물은 24시간 거래 가능하며, 다양한 자산군을 기초로 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상품 종류는 크게 지수, 에너지, 금속, 통화, 농산물, 금리로 나뉜다. 해외선물은 매수뿐만 아니라 매도를 통해서도 수익을 추구할 수 있다. 또한 레버리지를 활용해 적은 증거금으로도 큰 금액을 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단기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시장이다.다만 그만큼 변동성과 손실 위험이 크기 때문에, 각 종목의 특성과 매매 타이밍을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하다.2. 주요 해외선물 종목과 매매 시간대해외선물은 거래소에 따라 거래 시간과 특성이 다르다.대부분 종.. 2025. 6. 21.
해외선물이란, 나스닥 선물, 기회의 공존 1. 해외선물이란 무엇인가?해외선물이란 말 그대로 해외에서 거래되는 선물상품을 말한다.원유, 금, 곡물 같은 원자재부터 시작해서, 주가지수, 국채, 통화 등 다양한 자산을 기초로 한다.이 중 가장 많은 개인 투자자들이 관심을 갖는 분야는 바로 지수선물이며, 그 중에서도 나스닥 선물(NQ)은 대표적인 인기 종목이다.선물(Futures)이란 특정 상품이나 자산을 미리 정한 가격으로 미래의 일정 시점에 사고팔기로 약속하는 거래를 뜻한다.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주식과는 다르게, "매수뿐만 아니라 매도에서도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라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즉, 올라야만 수익이 나는 것이 아니라, 하락을 예상하고 매도 포지션으로 진입해도 수익이 날 수 있는 구조다.해외선물 시장은 24시간 거래 가능하다는 점에.. 2025. 6. 20.
볼린저 밴드란, 설정법, 실전 활용법 1. 볼린저 밴드란 무엇인가?볼린저 밴드는 1980년대 기술적 분석가 존 볼린저(John Bollinger)가 개발한 보조지표이다.가격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바탕으로 상단선, 하단선, 중간선(이동평균선)으로 구성되어 있다.이 세 개의 선이 만들어내는 띠처럼 생긴 형태 때문에 ‘밴드(band)’라는 이름이 붙었다.볼린저 밴드의 핵심은 주가의 변동성이다. 시장의 움직임이 클수록 밴드 폭이 넓어지고, 움직임이 작아지면 밴드 폭이 좁아진다.이 지표는 주가가 어느 정도의 범위 안에서 움직일 가능성이 높은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준다.일반적으로 주가는 밴드의 중간선을 기준으로 등락을 반복한다. 상단선에 닿으면 과열(과매수), 하단선에 닿으면 침체(과매도) 상태로 해석되기도 한다. 다만 단순히 상단에 닿았다고 무조건 매도하.. 2025. 6. 19.
RSI란, 기본적인 설정법, 실전 활용법 1. RSI란 무엇인가?RSI는 Relative Strength Index의 약자로, 우리말로는 '상대강도지수'라고 부른다.이는 일정 기간 동안의 상승폭과 하락폭을 비교하여 현재 주가의 과매수·과매도 상태를 판단하는 데 사용하는 대표적인 오실레이터형 보조지표다. 즉, 너무 많이 올랐는지 혹은 너무 많이 떨어졌는지를 수치화해서 보여주는 지표라고 이해하면 된다.RSI는 0에서 100 사이의 값으로 표시된다. 일반적으로 70 이상이면 과매수 구간, 30 이하면 과매도 구간으로 본다.이 구간을 기준으로 매수 또는 매도를 고민하는 판단자료가 되기도 한다.예를 들어 RSI가 80이라면 최근 며칠 간 주가가 거의 계속 올랐다는 의미다. 반대로 RSI가 20이라면 계속 하락했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절대적인 기준은 .. 2025. 6. 18.